世와 代 등록일 23-03-07 16:24 작성자 성낙일 (1.♡.24.107)
본문
世와 代
요즘 세(世)와 대(代)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始祖를 1世로 하여 내려갈 경우에는 世라 하고 자신을 빼고 아버지를 1代로 하여 올라가는 것을 代라고 하는 측과,
世와 代는 같고 世와 代에 祖 孫 등 호칭이 붙으면 자기를 뺀다는 측이 있다.
◎ 시조를 1世로 하여 내려갈 경우에는 世라 하고 자신을 빼고 아버지를 1代로 하여 올라가는 것을 代라고 하는 측은
高祖父는 자기의 4代祖이고, 高祖로부터 자기는 5世孫이라고 한다.
高祖로부터 자기는 5世이다.
◎ 世와 代는 같고 世와 代에 祖 孫 등 호칭이 붙으면 자기를 뺀다는 측은
高祖父는 자기의 4代祖 또는 4世祖이고, 高祖로부터 자기는 4世孫 또는 4代孫이라고 한다.
高祖로부터 자기는 5世이다.
옛날부터 世를 쓰다가 당나라 태종 李世民 이후 世자를 못 쓰게 하여 代로 바꾸어 사용하던 것이
태종이 서거한 후 풀리어 오늘에 이르러 世와 代를 혼용하게 된 것이며
世祖는 옛날에는 많이 썼으나 지금에는 거의 안 쓰고 代祖를 많이 쓰고 있다.
시조 또는 기준으로부터 차례로 내려가는 순서는 1世 2世 3世 4世 5世 ..... 또 1代 2代 3代 4代 5代.....로 나타내는 것이다.
문중에 따라 世나 代를 선택하여 쓰고 있다. 世와 代는 한 씨족의 혈통을 나타내는 차례의 단위이다.
차례를 나타낼 때 1世 2世 3世 4世 5世 .....로 세(世)를 쓰는 문중이 많지만.
차례를 나타낼 때 1代 2代 3代 4代 5代 .....로 대(代)로 쓰는 문중이 있다.
全州李氏 璿源先系錄(1603), 文化柳氏嘉靖譜(1562), 眞城李氏陶山譜(1600), 安東權氏辛巳譜(1701), 廣州李氏甲辰譜(1724), 碧珍李氏壬辰譜(1652), 慶州李氏甲子譜(1684), 延日鄭氏癸丑譜(1553), 咸安趙氏己未譜(1739), 淸州鄭氏丁亥譜(1827), 晋陽河氏己亥譜(1719), 大邱彬氏, 鎭川宋氏 등등
◎ 世와 代는 같다.
代, 世에 祖, 孫字가 이어져 칭호를 나타내는 경우(祖孫 등이 붙으면)
나와의 관계이고 셀 때는 나를 제외한다.
5代祖=5世祖 : 祖가 붙으면 나와의 관계이고 祖上만 세어서 5번째 위인 祖上,
5代孫=5世孫 : 孫이 붙으면 나와의 관계이고 子孫만 세어서 5번째 아래인 子孫.
高祖父는 자기의 4代祖가 되고 자기는 高祖父의 4代孫 또는 4世孫이 된다. (高祖父로부터 自己는 5世이다)
五代祖(世祖), 五代孫(世孫), 五代宗孫, 五代宗婦, 四代奉祀 등 祖, 孫, 宗婦, 奉祀가 붙으면 자기는 제외된다.
◎ 우리 昌寧成氏의 古文獻에는 하나같이 몇 代孫 또는 몇 世孫이라고 同意로 표시되어있다.
世孫=代孫 (족보의 각 서문 발문 또는 비문 등).
◎ 우계(牛溪) 성혼(成渾) 선조께서도 저서인 우계속집(牛溪續集) 6권 잡기(雜記)의 내용에서
문정공(文靖公) 성여완(成汝完) 선조의 7世孫이라고 하셨다.
우계(牛溪)의 가계(家系)를 살펴보면, 1 여완(汝完), 2 석인(石연), 3 억(抑), 4 득식(得識), 5 충달(忠達),
6 세순(世純), 7 수침(守琛), 8 혼(渾)으로
이헌공(怡軒公 - 諱 汝完)으로부터 8世이고 怡軒公의 7世孫이다.
◎ 성균관에서도 최근 代와 世, 代數와 世數에 관한 討論 最終論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2009년11월28일)
成均館 代와 世, 代數와 世數에 대한 討論 最終論
[대(代)와 세(世)는 같으며 기준인 나(己)를 포함한다]
[대조와 세조는 같으며 기준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손과 세손도 같으며 기준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 世와 代에 對한 提言
지금 우리나라에는 <世와 代>에 대한 槪念이 두 갈래로 混線을 빚고 있다.
예컨대 世와 代에는 主格을 넣지 않는 同義로 해석하는 측면과
世에는 主格을 넣고 代에는 主格을 뺀다는 異義로 해석하는 측면이 있는 것이다.
각 家門마다 省墓時에 先祖의 神道碑銘이나 墓碣銘을 보면서 異論이 무성하다.
예컨대 時祭의 告祝에 있어서 <00代祖 某>와 <00世孫 某 >라는 문제에 있어서
代와 世에 대한 同義와 異義의 妥當性을 거론하면서
甲論乙駁의 討論이 亂舞하여 混同과 撞着이 惹起되는 것이다.
異論이 많고 混同하기 쉬우므로 차례를 나타낼 때는 世를 쓰고(一世 二世 三世 ...)
祖나 孫을 붙일 때에는 混同을 피하기 위해서 代祖, 代孫(五代祖 六代祖 七代祖 ...
五代孫 六代孫 七代孫 ...)을 使用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雅山 成洛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