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녕군} 시조 고려 중윤공 諱인보(成仁輔 1세)할아버지로부터 5세 6세 7세 할아버지의 묘제 봉행 (정절공파) 등록일 23-11-22 20:01 작성자 창녕성씨대종회 (222.♡.79.125)
본문
시조 고려 중윤공 諱인보 (成仁輔 1세) 할아버지로부터
政承公 5세, 貞節公 6세, 處士公 7세 할아버지의 2023년도 묘제 봉행 행사가 11월 15일 (음력 10월 3일) 경남 창녕군 창녕읍 조산리 205번지 송림재 선영에서 貞節公 후손과 종원 여러분들이 약 50명 가량 참석하신 가운데 성황리에 이루어졌다, 그리고 훌륭한 선비와 충신 관료를 배출한 창녕성씨 5세, 6세, 7세 할아버지의 묘제 행사 진행에 앞서 성주복 종원님이 집례와 사회를 맡으시면서 참석하신 내빈 소개에 이어서 집례 순서에 따라서 政承公 5세 초헌관은 성순경 종원님 (정절공 25세) 아헌관은 성영경 종원님 (정절공 25세), 종헌관은 성학경 종원님 (정절공 25세) ,대축은 성낙석 종원님 (정절공 24세), 貞節公 6세 초헌관은 성영경 종원님 (정절공 25세), 아헌관은 성기정 종원님 (정절공 26세), 종헌관은 성낙철 종원님 (정절공 24세) ,대축은 성낙석 종원님 (정절공24세), 處士公 7세 초헌관은 성인경 종원님 (정절공 25세), 아헌관은 성낙균 종원님 (정절공 24세), 종헌관은 성재경 종원님 (정절공 25세) ,대축은 성낙석 종원님 (정절공 24세) 하시면서 정절공 종원 여러분들과 함께 묘제 봉행 행사를 모두 무사하게 마치면서 숭고한 조상의 얼을 기리기도 하였다,
▶송림재 주소 : 경남 창녕군 창녕읍 조산리 205번지
▶ 사진촬영 및 편집인 : 창녕성씨대종회 홈페이지 운영위원장 성기효
주소는 : 경남 창녕군 창녕읍 조산리 205번지.
아래는 시조 고려 중윤공 諱인보(成仁輔 1세)
시조할아버지로부터 政承公 5세 할아버지의 묘제 봉행이다.
묘제 봉행 행사에 앞서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의 종원 여러분들이 송림재에서 기념으로 한 컷 담아보았다
헌관들은 송림재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선영으로 이동을 하는 모습이다.
정승공 5세 할아버지의 선영으로 이동을 하여 도착한다.
비석 전면에는 고려 삼중대왕 좌정승 창녕성공 휘 유득 제단이라고 쓰여 있다.
정승공 5세 할아버지의 선영에서 종원 여러분들이 엄숙하게 제례를 올리는 모습이다.
성주복 종원님께서 집례를 맡아서 행사를 진행하는 모습이다
정절공 후손들이 많이 참석하여 조상님에게 예를 갖추어서 행사는 엄숙하게 진행이 된다.
묘제 봉행 행사에 많은 분들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내 주셨다
초헌관은 성순경 종원님 (정절공 25세), 아헌관은 성영경 종원님 (정절공 25세),
종헌관은 성학경 종원님 (정절공 25세) ,대축은 성낙석 종원님 (정절공 24세)의 모습이다.
초헌관은 성순경 종원님 (정절공 25세)이 첫 잔을 올리는 모습이다.
대축은 성낙석 종원님 (정절공 24세)이 하시는 모습이다.
아헌관은 성영경 종원님 (정절공 25세)이 둘째 잔을 올리는 모습이다.
종헌관은 성학경 종원님 (정절공 25세)이 셋째 잔을 올리는 모습이다.
정승공 5세 할아버지의 묘제 봉행을 마치고 음복을 하는 헌관들의 모습이다,
정승공 5세 할아버지의 묘제 봉행을 마치고 참석자들과 기념으로 한 컷 담아보았다.
아래는 시조 고려 중윤공 諱인보(成仁輔 1세)
시조할아버지로부터 貞節公 6세 고려충신 성사제 할아버지의 묘제 봉행이다.
정승공 6세 고려충신 성사제 할아버지의 집사 분정기다.
망송각의 전경이다.
망송각은 고려충신 성사제 (정절공 6세) 할아버지의 망제단으로서 비석은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676호로 지정되었다.
고려충신 성사제 (成思齊)는公은 판서공 공필의 증손이며 광록대부 삼중대광(三重大匡)좌정승 휘 유득의 아들로 일찍이 학문을 성취 하였으며 고려 공민왕때 제과에 급제한후 보문각 직제학을 20여년 근무 하였으나 조정이 극도로 문란함을 탄하고 10여년간 은둔생활을 하셨다. 이태조가 개국하자 王씨의 귀신이 될지언정 李가의 신하는 되지 않겠다 하시었다. 처자에게 이르기를 나는 대대로 국은을 받았는데 살아서는 국가에 보답하지 못하였고 죽어서는 망국대부가 됨을 면할수 없으니 장차 무슨 면목으로 선조를 뵙겠는가 내가 죽더라도 시신마저 거두지 말라 하시고 처자를 창녕으로 보내셨다. 고려가 망하고 이태조가 경덕전에 과거를 베풀고 명류들을 초유 하였으나 관을 벗어 나무에 걸고 고개를 넘어 피하며(이고개를 부조현이라 칭함) 두문동에서 끝까지 충절을 지키셨다. 충절을 지킨 분들이 72人으로 세칭 두문동 72賢이라 칭한다. 이조 영조16년에 왕은 “고려충신부조현”이란 글을 돌에 새겨 표시케 하고 영조27년 두문동에 비를 세웠다. 公은 표절사(表節祠)에 배향되었고 고종9년에 정절(貞節)이라 시호(諡號)가 내렸으며 창녕 물계서원에 추향 되었다. 우리 성문은 고려말의 성사제, 성부(두문동72현중 한분)의 충신과 조선조의 사육신 성삼문, 생육신의 성담수등 충효전가(忠孝傳家)한 가문이다.
고려충신 성사제 (정절공 6세) 할아버지의 망제단
비석은 2021년 10월 21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676호로 지정되었다.
망송각에서 고려충신 성사제 (정절공 6세) 할아버지 묘제 봉행하는 모습이다.
초헌관은 성영경 종원님 (정절공 25세), 아헌관은 성기정 종원님 (정절공 26세),
종헌관은 성낙철 종원님 (정절공 24세) ,대축은 성낙석 종원님이 하신다.
초헌관은 성영경 종원님 (정절공 25세)이 첫 잔을 올리는 모습이다.
아헌관은 성기정 종원님 (정절공 26세)이 둘째 잔을 올리는 모습이다.
종헌관은 성낙철 종원님 (정절공 24세)이 셋째 잔을 올리는 모습이다.
위에 사진은 고려충신 성사제 (정절공 6세) 의 할머니 할아버지의 산소로서
잔을 드리고 모셔온다.
초헌관은 성인경 종원님 (정절공 25세), 아헌관은 성낙균 종원님 (정절공 24세),
종헌관은 성재경 종원님 (정절공 25세) ,대축은 성낙석 종원님 (정절공 24세) 이 하신다.
성주복 종원님이 집례를 맡아서 행사를 진행하는 모습이다.
지방의 내용이다.
處士公 7세 할아버지의 묘제 봉행이 송림재에서 엄숙하게 진행을 하는 모습이다.
초헌관은 성인경 종원님 (정절공 25세)이 첫 잔을 올리는 모습이다.
초헌관의 첫 잔을 올리고 성낙석 종원님이 축문을 낭독하시는 모습이다.
아헌관은 성낙균 종원님 (정절공 24세)이 둘째 잔을 올리는 모습이다.
종헌관은 성재경 종원님 (정절공 25세)이 셋째 잔을 올리는 모습이다.
묘제 봉행을 마치고 송림재에서 소고기 국밥으로 점심을 먹었다.
묘제 봉행을 마치고 송림재에서 점심 식사를 하시는 종원님들의 모습이다.
▶더 만은 사진과 상세한 설명의 글은 아래 영문주소를 클릭하시면 보실 수가 있습니다
대종회 홈페이지 운영위원장 성기효 다음(Daum) 티스토리 블로그로 바로 갑니다
클릭하세요☞☞ https://sgh4609.tistory.com/3609